정상적인 도메인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정확한 룰을 찾아봤다.
다음의 규칙을 만족해야만 한다.
1. 문자, 숫자, "-"(hyphen) 만을 사용할 수 있다.
2. sub domain의 구분은 "."으로 한다.
3. 시작과 끝은 반드시 문자나 숫자여야 한다. ("-"이 처음이나 끝에 올 수 없다)
4. 전체 길이(sub domain의 전체를 포함)는 64자까지 허용한다.
5.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다.
의외로 단순하다.
이 조건으로는 IP Address도 포함 할 수 있으므로, 오류검사하는 데 사용하면 좋겠다.
(참고: 구글검색결과)
관심사/인터넷
- 도메인네임(domain name)의 규칙 2007.10.29
- 전세계 IP주소 사용량 2007.10.24
- 구글의 모바일용 페이지 2006.12.15
도메인네임(domain name)의 규칙
2007. 10. 29. 18:05
전세계 IP주소 사용량
2007. 10. 24. 16:10
KLDP에서 글 중에서 IP주소의 국가별 DB가 있다는 글을 보고는 확인해 보았다.
CSV파일을 받아서 분석해 본 결과,
중에서
미국이 차지하고 있는 게 무려 60%이상이다.
순위를 매겨보면 다음과 같다.
의외로 일본이 높은 순위다.
IPv6에서는 좀 달라지려나...
CSV파일을 받아서 분석해 본 결과,
총합계 | 2978409989 |
미국이 차지하고 있는 게 무려 60%이상이다.
순위를 매겨보면 다음과 같다.
1 | US(미국) | 1,805,215,872 | (60.61%) |
2 | JP(일본) | 154,537,886 | (5.18%) |
3 | CN(중국) | 125,722,183 | (4.22%) |
4 | GB(영국) | 104,822,056 | (3.51%) |
5 | AU(호주) | 95,532,082 | (3.2%) |
6 | DE(독일) | 93,865,250 | (3.15%) |
7 | FR(프랑스) | 73,823,281 | (2.47%) |
8 | CA(캐나다) | 63,001,214 | (2.11%) |
9 | KR(한국) | 55,367,590 | (1.85%) |
10 | NL(네델란드) | 40,564,583 | (1.36%) |
의외로 일본이 높은 순위다.
IPv6에서는 좀 달라지려나...
구글의 모바일용 페이지
2006. 12. 15. 09:38